본문 바로가기

IT Device Game

아이폰 도입 3주년, 3년 동안 무슨 일들이 일어났나? (3) -끝-

KT 공개 문서를 읽으며 개인적인 생각을 남기고자 하였는데 이글이 해당 주제의 마지막 글이 될 듯 합니다.

 

이전글: 아이폰 도입 3주년, 3년 동안 무슨 일들이 일어났나? (1)

 

이전글: 아이폰 도입 3주년, 3년 동안 무슨 일들이 일어났나? (2)

 

KT보고서에서는 마지막 부분에 미래상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는데 그전에 2012년 12월 현재의 아이폰의 모습을 한번 볼까 합니다.

 

표와 수식및 일부 내용은 1, 2차 참조로 mobizen 님의 모바일컨텐츠 이야기의 관련 포스트 에서 참조 하였습니다.

 

 

아이폰 도입 3주년

 

3년전 아이폰이 국내에 상륙한 후 부터 3년 동안 안드로이드의 스마트폰OS의 점유율이 엄청나게 상승 하였습니다.

또한 안드로이드의 우세에 IOS는 충성도가 높은 사용자로 인해 유지하는 비율로  스마트폰의 OS경쟁은 두 운영체제의 외의 모바일 운영체제는 전멸이 눈앞인 상황으로 보입니다. 아 윈도우가 마지막 불씨를 불태우고 있군요.

 

아이폰 도입 3주년

 

하지만 이전글에서도 지적 되었듯이 점유율에 비해서는 "안드로이드의 수수께끼" 로 불릴 만큼 애플 IOS의 트래픽 비율이 매우 높습니다.

 

아이폰 도입 3주년

 

아이폰 가입자의 77%를 보유한 KT가 발표한 아이폰 5 가입자 현황을 보면 20대와 30대의 신규 아이폰5에 대한 가입자가 많으며 특히 20대의 가입자 수가 많습니다.

 

아이폰 도입 3주년

남성의 비율의 높습니다.

주변 주부들이나 여성들의 경우는 이른바 "오빠 약정 승계"나  갤럭시S3등이 플래그쉽 안드로이드 폰이 아닌 저가의 안드로이드폰을 개통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으므로 납득이 가는 결과로 보입니다.

 

아이폰 도입 3주년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에 많습니다.

 

mobizen 님의 블로그에서 아이폰을 선호하는 계층은 수도권에 사는 20, 30대의 남자 이며 이는 전형적인 얼리어댑터 계층으로 단말기 대수에 비해 트래픽과 유료 구매 비율이 높은 이유를 설명해 주셨습니다.

 

대체로 해당 분석에 동의하며 방대한 자료를 공개해주신 mobizen 님에게 감사 드립니다.

 

다만 트래픽 수치가 북미 기준으로 국내와는 차이가 좀 있을걸로 보이며 유료 구매의 경우는 안드로이드를 사용하는 얼리어댑터 계층은 유료결제보다는 별도의 경로로 어플을 설치 하리라 생각이 됩니다.

 

국내의 경우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가 사용된 단말기가 국내 유통망에서는 접하기가 가장 쉬우며 사실상 스마트폰이지만 피처폰 형태로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층을 많이 흡수한 결과로 보입니다. 이는 비율상의 문제지 일부 기사들 처럼 안드로이드를 사용하는 모든층을 "스마트폰으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계층으로 매도하는 결과가 아님을 다시 한번 밝혀드립니다.

 

하지만 점유율의 힘은 무시할 수가 없는 부분으로 도입 초기와는 달리 현재 국내의 대부분의 서비스는 안드로이드를 우선으로 개발되는 추세 입니다.

 

아이폰 도입 3주년

 

아이폰 사용자의 충성도는 위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매우 높은 편 입니다.

 

필자의 의견은 폐쇠적인 플랫폼의 한계로 인하여 적어도 스마트폰에서는 서서히 안드로이드 OS 독점의 시대를 예상하는데 머니투데이의 최근 기사를 보니 아직까지는 안드로이드의 우세속에 두 운영체제의 경쟁이 당분간은 지속되려나 봅니다.

 

관련기사 애플, 美스마트폰 1위자리 재탈환..미국 밖에선 크게 밀려

 

도입 3년 후인 현재의 아이폰(IOS) 모습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가. 세계적으로는 안드로이드에 밀려서 약 15%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나. 아이폰5로 적어도 미국에서는 스마트폰 1위자리를 탈환했다.

 

다. 국내의 사용자는 3GS, 4, 4S 사용자를 합쳐 약 400~500만명으로 사용자층을 예상

 

라. 얼리어댑터 계층이 많이 이용하며 트래픽과 유료구매를 많이 유발하는 해비유저 비율이 높은편

 

 

그러면 보고서에서 예측하는 미래는 어떤 걸까요? 몇가지만 발췌해 보았습니다.

 

아이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는 마중물로서 스마트혁명을 촉발하였지만 향후에는 이 마중물이 당긴 방아쇠가 이런 사회를 만든다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1, 초연결 사회(?)

 

참 용어가 선뜻 와닿지 않습니다.

모바일기기를 넘어서 TV. 자동차, 심지어 전등까지 모든 사물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회를 이야기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최근에 스마트폰으로 확인하는 CCTV에 어떤 섬뜩함을 느낀 부분이 있어 좀 무서운 이야기로 들립니다.

 

사물 통신망이란 용어까지 이미 존재하는걸 보니 해당 분야에 대해 이미 많은 연구가 있는 모양 입니다.

 

2. 3차 산업혁명

 

제조업이 네크워크와 3D 프린팅 기술로 인하여 대량 규격 생산이 아닌 맞춤 대량 생산하는 시대를 예상 합니다.

아이폰으로 촉발되는 혁명 이야기로는 좀 멀리 나간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현재의 제조업이 규격으로 셋팅된 형태로 생산을 한다면 미래는 다양한 형태로 맞춤된 제품을 대량 생산하는 시대가 되리라 예상 하는듯 합니다.

 

아이폰 도입 3주년

3D프린터 사진 출처 : 네이버캐스트

 

3D 이미지 만으로 마치 프린트 하듯 3D형체를 만들어 내는것을 3D프린터라고 합니다.

최근에 모 영화에도 얼굴 가면을 만들어 내는 장비로 등장했었죠?

 

정말 이미지 만으로 물체를 프린트하듯 생산해낼수 있는 시대가 온다면 놀라울거 같습니다.

지금처럼 고정된 생산라인 개념이 없어지니 어떤 형태라도 라인 변경 없이 맞춤 생산이 가능하겠지요.

 

말도 안되는 이야기 같지만 6~7년전만 해도 휴대폰 화면을 터치해서 인터넷에 자유롭게 접속하고 음성을 인식하는 휴대폰 이야기는 공상과학에 나오는 이야기 였고 세계의 공장이라는 중국이 이 기술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발표까지 했으니 상상만으로 끝나지 않을 수도 있을거 샅습니다.

 

이로 인해 새로운 수많은 일자리가 창출된다고 합니다.

 

이런게 정말 이루어진다면 필자의 생각에는 블로거같은 개인 미디어가 등장 했듯히 3D프린터를 가지고 있고 3D 이미지만 그리면 맞춤 생산 할수 있는 개인 생산의 시대도 혹시 열리려나요?

 

3. 필자가 바라는 미래

 

KT보고서가 예측하는 먼 미래도 흥미롭지만 필자 처럼 일반 사용자들은 그냥 이런 가까운 미래, 그저 이런 소심한 요구를 꿈꾸지 않을까 합니다.

 

가. 이통사에 얽매이지 않는 정말 자유로운 스마트폰 환경을 원합니다.

-이미 단말기 자급제로 그 시초가 보이긴 하지만 아직도 머나먼 이야기 같습니다.

단말기 제조사는 멋진 단말기를 제조하고 이통사는 그 단말기에 멋진 날개를 달아주는 서비스 플랫폼이 될 수는 없는걸까요?

 

나. 서로 다른 운영체제에서도 이전 휴대폰정보를 클라우드로 손쉽게 넘길수 있는 환경

-휴대폰의 운영체계가 같은 버전일때는 쉽겠지만 예를 들면  IOS를 사용하다가 안드로이드폰으로 갈아탄다면 많은 정보를 아이클라우드에 동기화 해두어도 쓸모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겨우 연락처, 메일, 메모, 캘린더 정도를 넘기는게 고작인듯 합니다.

 

다. 완벽한 클라우드에 접속되는 단말기

- 사실상 단말기는 플랫폼으로만 동작하고 모든 정보와 자료는 클라우드에 존재하는 환경을 원합니다. 더이상 스마트폰의 용량및 백업에 신경쓰기 귀찮고 모바일 단말기는 정보만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로만 동작해 주실 바랍니다.

사실 다. 항목이 이루어 진다면 가. 나.는 자동으로 해소되는 부분일듯 합니다.

 

아래는 필자의 아마추어적인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생각이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댓글을 남겨 주세요.

 

-요즘의 안드로이드는 모바일폰에서 PC에서 할수 있는 것들을 모두 구축하려는 것 처럼 보입니다.

더 나아가 구글CEO가 단언 했듯이 "안드로이드는 모바일OS가 아니다" 를 생각하게 합니다.

이 말은 즉슨 먼 미래에는 모바일폰/태블릿에 그치는게 아니라 현재의 PC환경에서의 Windows를 대체하고 카메라(카메라는 이미 삼성의 갤럭시카메라가 나왔군요), 백색가전, 모든 사물에 안드로이드가 사용될지 모른다는 이야기로 들립니다.

 

-반면에 애플의 IOS는 클라우드에 더 집중하는것 처럼 보입니다.

필자가 보기에도 폐쇠적인 OS환경의 돌파구는 클라우드 환경인것 같기는 합니다.

 

 

-삼성도 자체 모바일OS 보유를 포기하지는 않은듯 합니다.

아마도 현재의 게임판을 바꾸려면 현재 진행중인 모바일 웹OS와 같은 새로운 방식이 정답일지도 모른다는 견해 입니다.

 

당초에 글하나로 끝내려 했던 내용이 3편까지 적게 되었습니다.

부족한 아마추어적인 견해나 생각은 너그러이 이해해 주시기 바라며 비판의견은 댓글로 남겨 주시면 겸허히 수용 하겠습니다.

 

KT 보고서 원문 받기 : kt 경제경영연구소

 

 

 

 

다음 으로 구독을 원하시면 다음으로 구독하기

 

 

****추천은 블로거에게 큰 힘이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