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를 오래 다루고 보정해 오신 분들은 잘 알고 계시겠지만 사진에 처음 입문한 경우 여러 이미지 파일 포맷들 간의 차이를 잘 이해하지 못하거나 그저 다 같은 이미지 파일이려니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용량 차이가 좀 나는구나 정도로만 생각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미지 포맷에 대해서 잘 몰라도 사진 취미를 즐기는데 지장은 없습니다.그럼에도 오늘은 이 파일 포맷들 간의 차이를 간단하게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그 이유는 때때로 보정에 더 관용도가 높은 RAW 포맷 대신 굳이 JPG로 보정을 하려 한다, 그저 단순 웹 업로드나 보관용인데 용량도 큰 TIFF로 저장을 고집한다 하는 경우를 간혹 보았기 때문입니다. 저 역시 초기에는 JPG로 보정을 해보려 했던 적도 있고, 잘못된 정보로 굳이 RAW를 TIFF로 변환해서 보정했던 적도 있었습니다.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우선 대부분의 카메라에서 기본 저장 포맷인 JPEG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JPEG은 보통 jpg, .jpeg, .jpe 등의 확장자를 가집니다. 쉽게 정의하면 JPEG은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 알고리즘에 따라 압축하여 용량을 줄입니다. 간략화한 예를 들면 파란색의 하늘을 담는다면 동일한 픽셀의 색이 반복되는 영역을 지정하고는 실제 데이터는 빼 버리는 식입니다.
색 공간 변환, 양자화, 크로마 서브 샘플링, 양자화 엔트로피 부호화(무손실 압축) 여러 방식이 있지만 결국 픽셀당 24비트씩 (8비트 X 3-빨강,초록,파랑)의 색상 정보를 가진 데이터를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뭐 우리는 간단하게 이미지를 압축해서 용량을 줄인 파일로 원본과 100% 동일하지 않다고 이해하면 될 듯합니다. 물론 무손실 압축 방식도 JPEG는 지원하긴 하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JPG 파일은 대부분 데이터의 손실 압축된 파일입니다. 파일의 용량면에서 RAW 파일이나 TIFF 파일에 비해 많은 용량 절약이 됩니다.
디지털카메라에는 표준 이미지 양식이고 대부분 사진을 찍게 되면 바로 메모리카드에 생성되는 JPG는 카메라 내부 정의된 방식으로 이미지 처리를 거쳐 생성되는 일종의 보정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JPEG만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PC에서 사진을 보거나 웹에 올리거나 SNS에 올리고 우리가 사진이라 인지하는 데이터들은 대부분 JPEG 파일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처럼 웹 환경에서 이른바 움짤에 많이 사용되는 GIF외에는 대부분의 이미지 파일이 JPG다 보니 그러다 보니 "뭐뭐 하고 있는.JPG" 같은 표현들도 SNS나 웹에서 많이 쓰입니다.
JPEG로 보정을 한다면 보정 후 JPG 파일로 저장할 때마다 추가로 데이터 손실이 일어나기 때문에 꼭 JPG로 보정을 해야만 한다면 가능한 손실이 적은 1차 JPG로 작업하시길 권해 드립니다. 그럼에도 뒤에 소개할 RAW에 비해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적다 보니 보정 관용도가 떨어지는 편입니다.
RAW
단어 raw는 날것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RAW 포맷은 필름 센서에서 받아들인 데이터를 각 제조사별 특정한 포맷으로 저장한 이미지 정보의 덩어리입니다. 어떻게 보면 현상전의 필름에 대비되기도 하며 이 때문에 RAW 파일을 Digital negative 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조사에 따라 .CR2, .NEF 또는 어도비사가 2004년 개발한 DNG (Digtal Negative, 무손실 RAW 이미지 포맷)를 지원하기도 합니다.
DNG를 제외하면 각 제조사 고유의 RAW 파일들은 제조사가 제공하는 툴을 사용해야만 RAW 파일을 보거나 읽을 수 있습니다. 촬영 시의 데이터를 그대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보정 적용 시 JPG에 비해 이미지나 깨어지거나 파괴되는 부분이 최소화 되어서 보정 시에 관용도가 높다고 표현합니다.
RAW로 촬영할 때의 최대 단점은 역시 "파일 용량" 입니다. 카메라에서 JPG 최대 화질로 저장이 4~5메가 또는 10메가 정도 용량이라면 RAW로 촬영 시 화소에 따라 수십 메가에서 수백 메가까지 저장되기도 합니다.
두 번째는 제조사의 프로그램이나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았을 때 일반적인 편집 프로그램에서 열 수 없고 그냥 사진 보기도 안된다는 점입니다.
사진 보정 시 제조사의 프로그램 또는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포토샵이나 라이트룸 같은 편집 프로그램으로 RAW를 읽어 보정을 하고 최종적으로는 일반적인 사용이나 보기를 위해서 JPG로 변환하게 됩니다.
TIFF(Tagged Image File Format)
TIFF는 일종의 이미지 무손실 압축 포맷입니다. 레이어를 포함할 수도 있어 사진 편집 프로그램에서도 많이 이용됩니다. 파일 앞 부분에 이미지에 대한 태그들이 일반적으로 PC에서 스캔 등을 했을 때 이 파일 형태로 저장되는 걸 많이 보셨을 듯합니다. RAW와는 다르게 일반적인 WINDOWS PC에서 별도 설치나 설정 없이 기본적으로 볼 수 있는 파일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RAW를 읽어서 편집 후에 이 파일 형식으로 저장 시 사이즈가 더 커지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 파일은 Photoshop 등에서 기본 지원을 하기 때문에 저도 사진 취미를 가졌던 초기에 RAW 파일에 대해서도 잘 모를 때 실수로 설정을 RAW로 찍고 이를 볼 수도 없고 저장도 못해서 발을 동동 구르다가 어딘가에서 별도의 CR2 -> TIFF 변환기를 다운받아서 TIFF로 변환하고 나서 포토샵에서 JPG로 한 장 한 장 저장하고는 안도의 한숨을 쉬었던 지난한 과정을 거쳤던 적도 있습니다.
사실 지금이라면 Camera raw 를 캐논에서 다운 받아서 포토샵이나 라이트룸으로 변환하거나 캐논의 DPP(Carmera raw 내장)를 다운 받아 간단하게 끝냈을 일이지만 당시에는 "RAW 포맷 대체 네가 뭔데 나를 이 고생시키나 두 번 다신 안 써" 이랬던 웃지 못할 기억이 있습니다.
RAW, TIFF, JPG
이 모든 포맷이 모든 취미 사진가들에게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보정을 한다, 하지 않는다는 개인의 선택이므로 하지 않는다면 JPG 파일만으로 충분히 행복한 취미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내 아이들 사진을 남기는 제 경우도 사실 JPG 면 충분합니다.
하지만 취미가라도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하고자 한 바를 이미지 보정을 통해 얻기를 원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고 자기만족을 위해서 RAW 파일이나 TIFF를 사용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일부 프로 중에서도 JPG만 사용하시는 분들도 간혹 있기 때문에 절대적이거나 한 법칙 같은 건 아닙니다.
RAW나 TIFF 사용 시 문제라면 역시 하드디스크의 용량입니다. 이미 2TB 하드 디스크 하나가 2년 정도의 시간 동안 가득 찼습니다. 사진 양도 많지만 성격상 JPG도 저장하고 RAW도 같이 저장해 두는 제 선택 때문이기도 합니다. RAW를 남겨 두는 이유는 시간이 흘러 다시 보정하면서 그 당시에는 평범하던 사진이 제 마음에 쏙 드는 사진으로 재탄생 되는 경우도 종종 있었던 경험 때문입니다.
어떤 형태의 파일을 선호하던 개인의 취향이지만 미리 이런 지식을 가지고 있다면 앞서 소개했던 제 에피소드같이 불 필요한 과정을 거칠 필요는 없을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