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날 문득 여행지에서 담아온 사진을 보다가 아내가 제 사진을 보면서 "사진이 많이 늘었네"라고 칭찬 해 주었습니다.
아내도 사진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보통사람 이지만 그냥 가족만 담는 아빠 사진사에게 사진이 아내의 맘에 드는 것이야 말로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고 비중이 큰 인정이 아닐 수 없습니다.
최근에 페이스북에서 링크된 "사진 똥손 필수.. 프로가 찍은 아이 사진 비교" 라는 기사를 보았는데 똥손 사진의 예가 기가막히게 제가 초기에 찍던 사진들과 똑같은 유사성이 있어 혼자 웃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약 4년간의 사진을 보면서 똥손이었던 과거를 돌아보며 손톱만큼이나 달라진 제 사진을 한번 돌아 보았습니다. 아직 금손은 안되었지만 똥손에서 쇠손 정도 발전은 있었지 않았나 생각하고 있습니다.
글쓴이는 어느날 갑자기 아이들을 좀 더 잘 찍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 전 까지 사진이나 카메라에는 정말로 1도 관심이 없던 사람이었습니다. 어느날 늘 찍던 휴대폰 사진이 아닌, 뭔가 잘 모르겠지만 그 가끔 인터넷에서 보는 좀 더 다른 느낌, 뽀샤시 해 보이는 느낌으로 아이들을 담아 보고 싶다는 생각에 깊이 빠지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지금에 와서 보면 그건 여느 보통 사람들이 카메라를 사는 계기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아웃포커스 된 사진들을 보고 심도니 판형이니 하는 개념은 전혀 모르면서 그냥 나도 저런 사진 찍으려면 카메라를 사면 되겠지? 하는 단순한 생각이었습니다. 처음엔 아무것도 모른체 캐논 EOS M을 구입한 것이 4년 반 전이고 그 이후 DSLR을 구입하고 사진을 조금은 더 잘찍어 봐야겠다고 마음 먹은 건 사실 2년 반이 조금 안 되었습니다.
카메라를 미러리스에서 DSLR로 바꾸면, 더 비싼 카메라를 쓰면 뭔가 더 잘 찍게 되는 줄 알았을 만큼 어처구니 없을 정도로 카메라에 대해 전혀 몰랐던데다 미러리스를 사용하던 2년간은 그냥 셔터를 누르는 것 외에 더 배우려 하거나 연구 해 본 일이 없는 것 같습니다.
카메라와 사진에 대해서 눈꼽 만큼은 좀 더 알게된 지금에 와서 보면 더 비싼 카메라가 조금 더 좋은 사진을 찍는데 도움은 되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비록 혹평 받는 캐논 미러리스 EOS M을 썻지만 좀 더 진지하게 사진에 대해 접근 했더라면 EOS M 으로도 충분히 좋은 사진을 남길 수 있다는 걸 알았을텐데 하는 생각이 듭니다.
캐논 미러리스 EOS 으로 아이들을 담던 시절은 당연히 구도고 뭐고 없습니다. 그냥 아이들은 정 중앙에 딱 자리하게 담고 있고 얼굴도 어둡게 담고 있습니다. 노출은... 그게 뭔가요? 먹는건가요?
심지어 미러리스 카메라를 사 놓고도 장농에 고이 모셔두고 여전히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더 많이 담았습니다. 카메라는 어딘가 특별한 곳에나 갈 때 쓰는 거라고 생각했나 봅니다.
또 이 시절 대부분 사진 들의 특징은 늘 허리도 굽히지 않고 꼿꼿이 서서 위에서 내려다 보며 슛을 했습니다. 아이들 눈 높이 조차 맞추지 못했던 시절 입니다. 즉 구도와 앵글 자체가 기사에 있던 완벽한 똥손의 예 입니다. 그래도 비록 아빠가 똥손이라 잘 담아 주진 못했지만 이 때의 딸의 모습들을 사진으로 남길 수 있었음에 만족 합니다.
아래 3장의 사진은 똑 같은 장소에서 그 때와 같은 똑 같은 카메라 EOS M 으로 최근에 담아 본 사진 들 입니다.
보정으로 색감 등이 달라진 것 외에 가장 달라진 건 역시 사진을 담는 구도와 눈 높이가 가장 많이 달라졌습니다.
사실 그 후로도 카메라나 사진에 대해 뭔가 배우려 하지 않고 그저 셔터만 열심히 눌렀기에 여전히 사진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그 때 담은 아이들 사진을 지금 와서 다시 보는게 참 좋습니다. 아이들 사진은 역시 꼭 잘 찍어야만 하는 건 아닌 것 같습니다.
시간이 흘러 EOS M 번들과 22mm 단렌즈를 쓰다가 망원에 대한 로망이 생겨서 당시 약 30만원 정도 하던 M 마운트 망원렌즈를 추가로 장만 했습니다. 렌즈가 바뀌니 사진이 조금 달라졌습니다. 역시 망원이다 보니 주 피사체인 아이들이 좀 더 크게 담기고 헝그리 망원이다 보니 충분하진 않지만 조금이나마 더 아웃포커스가 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어느날 웹 사이트에서 본 준 망원 단렌즈 만투(EF 85mm F/1.2 II USM)의 사진의 매력에 푹 빠지고 맙니다. 바로 조리개 1.2의 아웃포커스 가득한 그 사진들은 렌즈 열병을 앓게 했고 결국 지르면 편해진다고 만투를 구입하게 됩니다. 사실 같이 구입한 오막삼은 풀프레임에 대한 욕구도 아니고 EOS M의 M 마운트에는 만투를 마운트 할 수가 없어 만투 렌즈의 캡처럼 구입하게 된 바디 입니다. 당시 만투의 느낌을 가장 잘 살리려면 오막삼이면 된다는 글을 어디선가 봤거든요. 당연히 꽤 많은 비용이 지출되어서 지름의 여파는 12개월의 큰 고통을 주었습니다.
이렇게 렌즈 앓이 덕분에 저는 흔히들 말하는 첫 DSLR 부터 풀프레임으로 한방에 가게 됩니다. 당시에는 오막포도 육두막도 없던 시절이니 오막삼 정도면 제게는 차고도 넘치는 카메라 였습니다. 그 이후 사진은 한동안 저기가 도대체 어디였지? 궁금해 질 정도로 아웃포커스 사진으로 도배가 됩니다.
무척 즐거웠던 아웃포커스 놀이가 질려 갈 때쯤은 어디선가 JPG 대신 RAW로 찍으면 좋다는 이야기에 사진을 RAW로 담기 시작했고 자연스레 DPP에 "윤성" 님이 만드신 픽쳐 스타일을 적용 시켜 쓰기 시작하게 됩니다. 워낙 인물에 딱 알맞은 좋은 픽쳐 스타일 이었는데다 약간의 노출이나 색온도만 조정해 줘도 사진이 확 달라지기에 개인적으로 이때 사진의 색감이 좀 달라진 계기가 되기도 했습니다.
다시 사진이 달라진 계기는 역시 플래시, 스트로브라 불리는 카메라 조명을 구입하면서 부터 입니다. 실내 외 뿐만 아니라 낯에 야외에서도 스트로브를 늘 달고 이른바 필인플래시 기법으로 얼굴에 그늘도 없애보고, "순간 광"의 매력에 빠졌던 시기 인 것 같습니다.
이전 글
날씨 좋은 대낮에 왜 카메라에 외장 스트로브(플래시)를 달고 다닐까?
하지만 어느 순간 매번 스트로브까지 체결하고 카메라를 들고 다니기에는 너무 팔이 아파서 최근에는 꼭 스트로브가 필요 하겠다고 판단되는 날씨나 밤에 사진을 담을 일이 있을 때만 스트로브를 챙기고 있습니다.
여전히 아웃포커스 놀이에 빠져 있던 전 캐논 이벤트로 16-35 F/4.0 광각 렌즈를 이용해 보면서 잠시 넓고 심도 깊게 담는 세상에 빠지기도 합니다.
풀프레임 렌즈는 준 망원인 만투 (EF 85mm F/1.2 II USM) 만 사용해 본 전 광각이라는 이 새로운 세상도 꽤나 흥미롭고 즐거운 체험이었습니다. 하지만 EF 16-35mm F/4 렌즈를 이벤트 종료 후 반납하고나자 다시 만투의 매력에 빠져 한동안 지냈던 것 같습니다.
대여한 광각을 돌려준 후에는 여전히 만투와 아웃포커스에 빠져 아이들 사진을 담았습니다.
이처럼 만투 렌즈 하나로도 쭈욱 큰 불편 없이 아빠 사진사 생활을 즐겨 왔는데 시간이 갈 수록 잠시 못본 광각의 매력이 자꾸 생각나더군요. 그 때문에 풀 프레임 렌즈군 추가를 고민하게 되었고 광각을 먼저 추가 할까? 24mm 광각 영역을 커버 하면서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표준 줌 영역대 렌즈를 살까? 고민하다가 결국 캐논 EF 24-70mm F/2.8 II USM, 일명 신계륵을 먼저 들이게 됩니다.
만투는 긴 최소 초점거리로 늘 가족들과 좀 떨어져 거리를 두고 사진을 찍어야 했었는데 신계륵을 도입하고 나니 이렇게 손을 잡고 걸어 가면서도 사진을 담거나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서 담은 사진도 남기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아이의 손을 잡고 가까운 거리에서도 담을 수 있고 70mm로 줌 하면 어느정도 준 망원의 느낌으로 사진을 담을 수도 있어 평소에는 두루두루 애용하는 신 계륵 렌즈가 되었습니다. 여전히 힘을 팍 줘야 하는 사진을 담아야 할 때는 만투렌즈를 챙겨갔지만 말입니다.
85mm 화각에서 24-70mm 화각이 더 해지자 이전에는 거의 담지 않던 풍경도 더 자주 담게 되었습니다.
이 때만 해도 주로 DPP만을 이용해 픽쳐스타일, 밝기 정도를 적용 시키는 정도가 제 후보정 프로세스의 전부 였는데 사진을 하시는 분들의 정해진 수순이듯 마침내 포토샵 후보정에 눈을 뜨게 됩니다. 초기에는 대부분 DPP로 기본 처리를 하고 그 중 일부를 포토샵으로 후보정 하다가 점차 RAW를 바로 이용해서 브릿지와 ACR을 쓰고 포토샵으로 마무리 하는 형태로 후보정 프로세스가 자리 잡게 됩니다.
잠시 구글닉콜렌션이 제공해 주는 탬플릿인 필름 느낌 보정에 빠지기도 했었습니다. 이 역시 사진 후보정에 재미를 붙이다 보면 지나가는 과정일 듯 합니다.
아빠 사진사
원래 유행은 영원하지는 않다 보니 필름 느낌 보정에 살짝 질렸을 때 쯤은 HDR 기법에 빠져 모든 사진을 또 HDR 느낌으로 보정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필름 느낌이나 HDR이나 그 강렬한 느낌의 보정들의 특징은 그 강렬함 만큼 빨리 질리기 마련 인가 봅니다. HDR이 슬슬 질려 갈 때 쯤은 포토샵을 통한 합성에 재미를 붙이기도 했습니다. 서툰 합성이지만 아이들이 좋아해서 요즘도 가끔 합성을 해 보기도 합니다.
아빠 사진사
그 뒤로도 다양하게 색감도 실험해 보고 다양한 흑백에 느깜도 써보는 등 여러 형태로 후보정 실험을 해 보면서 즐거운 취미 생활을 한 시기 였습니다.
그러다 이제는 처음에는 도무지 적응하기 어렵던 라이트룸을 접하고 이것도 한번 써봐야 겠다라고 생각하고 배우다 보니 이제는 모든 사진을 라이트룸으로 후 보정하고 있습니다.
라이트룸에서 다양한 다른이들의 프리셋을 적용해 보며 이리 저리 개조해 보는게 또 한 동안의 취미였고 현재는 살짝 맑고 투명한 느깜을 주면서도 HDR 느낌이 아주 약간 묻어나는 느낌의 보정을 하는데 이르고 있습니다. 뭐 제 성격상 내년에는 또 색다른 것에 빠져 보정 방법이 바뀌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그러다가 언젠가는 제 스타일이 자리 잡게 되겠죠.
지금까지 똥손에서 은손, 금손 까지는 이르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쇠손 까지는 발전하지 않았나 자평하는 아빠 사진사의 똥손 사진 변화기 였습니다. 저도 언젠가는 찍는 사진마다 작품의 향기가 풍기는 금손 아빠사진사가 될 수 있겠죠?
추가로 앞서 링크한 기사에도 일부의 사진에 대해 진지하게 접근 해 본 적이 한번도 없는 사람들이 그냥 원래의 자연스러운게 좋다느니 프로는 뽀샵빨, 장비빨, 연출빨에 불과하다. 나도 저런 장비 있으면 똑같이 찍는다. 같이 아무말 대잔치 댓글을 남긴 걸 볼 수 있었는데 개인적으로 좀 씁쓸했습니다.
저는 기사에 나온 이제는 작가가 되었다는 아빠 사진사를 높이 평가하고 싶습니다. 먼저 모두가 꼭 그래야 된다고 단정하는 부분이 아닙니다만 그 기사의 주인공인 아빠 사진사는 분명 자신의 아이들을 예쁘게 담기 위해 이러저리 실험하며 구도를 잡는법을 배우고 어떤 장비로 담으면 이런 사진을 얻을 수 있을까? 하고 진지함을 가지고 오랜 시간 고민 해 보았을 것으로 생각 됩니다. 아마도 그전에는 한번도 접해본적 없는 포토샵이나 라이트룸 같은 도구들도 후보정을 하기 위해 배우고 익히느라 투자했을 시간과 노력도 있었을 것 입니다.
모두가 사진에 관심을 가지고 좋아할 수는 없습니다만 다만 누군가 공들이고 노력해서 만든 결과물과 프로세스를 아무런 노력도 안 해본 심지어 기본 지식도 모르는 사람이 폄하하고 깍아내리는 댓글들이 달린게 참 안따까운 마음이 듭니다.